입지결정요인 정보제공을 통해 공장의 신설·증설·이전 시 최적의 산업단지 탐색 지원하기 위하여 업종, 생산품, 원자재에 따른 입지매력도
(공장 집적화, 생산 네트워크, 교통 접근성, 지가, 정주여건 지수)를 산출하여 산업단지간 비교 또는 특정 산업단지의 블록별 입지매력도를 제공하는 GIS서비스입니다.
- 특정 업종의 공장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수(공장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음)
- 전체보기는 전국 1200여개 산업단지 대상 상대비교 점수이며, 단지블록보기는 단지 내 상대비교 점수임
- 산출에 활용하는 공장정보는 공장설립정보망(팩토리온)에 등록된 자료로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수식
필요항목
자료출처
가중치
공장수
내부(팩토리온)
0.35
공장면적
내부(팩토리온)
0.30
고용인수
내부
0.30
업종(신성장분야 조회)
신성장 위원회
0.05
2 교통 접근성 지수 (단지, 블록)
교통 접근성 지수 (단지, 블록)
- 단지의 교통여건이 얼마나 좋은지를 나타내는 지수임(교통여건이 좋을수록 점수가 높음)
- 전체보기는 전국 1200여개 산업단지 대상 상대비교 점수이며, 단지블록보기는 단지 내 상대비교 점수임
- 산출에 활용하는 철도역, 고속도로IC, 항만, 도로 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받은 GIS데이터로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수식
필요항목
자료출처
가중치
철도역과의 거리
국토지리원
0.3
고속도로 IC와의 거리
국토지리원
0.5
항만과의 거리
국토지리원
0.2
철도역과의 거리
국토지리원
0.3
고속도로 IC와의 거리
국토지리원
0.5
도로(광로, 대로, 중로, 소로) 와의 접면
국토지리원
0.2
3 지가 지수 (단지, 블록)
지가 지수 (단지, 블록)
- 단지의 지가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수임(지가가 낮을수록 점수가 높음)
- 전체보기는 전국 1200여개 산업단지 대상 상대비교 점수이며, 단지블록보기는 단지 내 상대비교 점수임
- 산출에 활용하는 지가정보는 표준지감정가(국토교통부), 부동산실거래가(한국감정원) 데이터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수식
필요항목
자료출처
단지지수
표준지 · 감정가 · 평균가 산출하여 최대/최소 5점 척도
표준지 감정가
국토교통부
블록지수
부동산 · 실거래가 · 평균가 산출하여 최대/최소 5점 척도
부동산 실거래
한국감정원
4 정주여건 지수 (단지)
정주여건 지수 (단지)
- 산업단지가 포함된 지자체(시군구)의 경쟁력지수(KLCI) 중 정주여건지수가 높을수록 점수가 높음
- 한국지방자치경쟁력지수(KLCI) : 한국공공자치연구원에서 연 1회(1996년~) 통계연감, 지방재정연감, 사업체기초 통계조사보고서, 관세청 수출입통계, 행안부 통계, 시도 및 시군구 통계 등 2만5천여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226개 시군구별 경쟁력 지수(경영자원부문, 경영활동부문, 경영성과부문)를 산출함
- 산출에 활용하는 KLCI지수는 한국공공자치연구원에서 연 1회 다양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는 데이터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